본문 바로가기

四字成語行詩

점입가경(漸入佳境) 점입가경(漸入佳境) 자행(字解) 漸 : 점점 점/적실 점 入 : 들 입 佳 : 아름다울 가 境 : 지경 경 의미 가면 갈수록 경치(景致)가 더해진다는 뜻으로, 일이 점점 더 재미있는 지경(地境)으로 돌아가는 것을 비유(比喩ㆍ譬喩)하는 말로 쓰임. 출전 : 사기(史記), 진서(晉書). = 자경(蔗境). 가경 (佳境). 漸次的인 고령화로 사회구조 바뀌는데 入境問俗 외면하다 치도곤을 맞으려고 佳人薄命 모르고서 예쁜여인 찾느라고 境界石을 무시하다 백성들만 고통일세! 점차적(漸次的) : 점차로 진행(進行)되는 모양(模樣). 입경문속(入境問俗) : 타향(他鄕)에 가면 그 고을 풍속(風俗)을 물어서 그에 따르는 일. 가인박명(佳人薄命) : 아름다운 사람은 명이 짧다는 뜻으로, 여자(女子)의 용모(容貌)가 너무 아름다.. 더보기
통일동산(統一東山) 통일동산(統一東山) 자해(字解) 統 : 거느릴 통 一 : 한 일 東 : 동녘 동 山 : 뫼 산 의미 ①여럿을 몰아서 하나로 만듦. 하나의 조직(組織). 계통(系統) 아래로 정비(整備)함. 하나로 모두 합(合)하여 지배(支配)함. 일통(一統). 통합(統合) ②다양(多樣)한 여러 요소(要素)가 어떤 점(點)에서 합치(合致)하여 하나의 전체(全體)에 같이 소속(所屬)하는 관계(關係), 곧 다양(多樣)한 부분(部分)을 제시(提示)하면서 하나로서도 파악(把握)되는 관계(關係)를 일컫는 말. 종합(綜合)과 전체(全體)라는 개념(槪念)이 수반(隨伴)됨 ③남북(南北) 통일(統一). ①평안북도(平安北道) 초산군(楚山郡)에 있는 산 ②'둥산'을 우리 음으로 읽은 이름. 統制區域 설정하고 부정비리 일삼으니 一犬吠形 百犬吠聲.. 더보기
우공이산(愚公移山) 우공이산(愚公移山) 자해(字解) 愚 어리석을 우 公 공평할 공 移 옮길 이, 크게 할 치 山 뫼 산 의미 우공이 산을 옮긴다는 말로, 남이 보기엔 어리석은 일처럼 보이지만 한 가지 일을 끝까지 밀고 나가면 언젠가는 목적(目的)을 달성(達成)할 수 있다는 뜻 . ~ 쓴소리는 듣기싫어 ~ 愚問賢答 충언하는 쓴소리를 듣지 않고 公不勝私 계속하다 드러나는 사건들은 移木之信 하여야 할 위정자들 이제라도 山呼萬歲 그만하고 백성들을 보살피소! 우문현답(愚問賢答) : 어리석은 질문(質問)에 현명(賢明)한 대답(對答). 공불승사(公不勝私) : 공(公)은 사(私)를 이기지 못한다는 뜻으로, 공적(公的)인 일에도 사사(私事)로운 정(情)이 끼여들게 마련이라는 말. 이목지신(移木之信) : 위정자(爲政者)가 나무 옮기기로 백성.. 더보기
촌철살인(寸鐵殺人) 촌철살인(寸鐵殺人) 한 치밖에 안 되는 칼로 사람을 죽인다는 뜻으로, ①간단(簡單)한 경구(警句)나 단어(單語)로 사람을 감동(感動)시킴 ②또는 사물(事物)의 급소(急所)를 찌름의 비유(比喩ㆍ譬喩). = 정상일침(頂上一鍼). 정문일침(頂門一鍼). 정문일침(頂門一針). 유래 : '촌철'이란 손가락 한 개 폭 정도의 무기를 뜻한다. 남송에 나대경(羅大經)이라는 학자가 있었다. 그가 밤에 집으로 찾아온 손님들과 함께 나는 담소를 기록한 것이 이다. 거기에 보면 종고선사가 선(禪)에 대해 말한 대목에 "촌철살인"이 나온다. "어떤 사람이 무기를 한 수레 가득 싣고 왔다고 해서 살인을 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. 나는 오히려 한 치도 안 되는 칼만 있어도 사람을 죽일 수 있다."이는 선(禪)의 본바탕을 파악한 말로.. 더보기
녹음방초(綠陰芳草) ~~~들르시는 모든 님들~~~ 綠楊芳草 휘늘어진 한 여름의 六,七月이 陰曆하고 양력하고 일 수마져 같이 가니 芳名錄에 인사라도 남기고서 가시구려. 草間求活 하려드는 이 세상이 안타깝소! 녹음방초(綠楊芳草) = 綠陰芳草 -> 나무가 푸르게 우거진 그늘과 꽃다운 풀이라는 뜻으로, 여름의 아름다운 경치(景致). 초간구활(草間求活) : 풀 사이, 곧 민간(民間)에서 삶을 구(求)한다는 뜻으로, 욕되게 한갓 삶을 탐냄을 이르는 말. 출전 : 진서(晉書 더보기